2024년7월6일 온체인락업에 대한 이해(영상출처: 다오월드님)
2024년7월6일 온체인락업에 대한 이해
(영상출처: 다오월드님)
온체인 락업이란
1차락업의 연장선에서 KYC 인증을 마치고
마이그레이션 받은 파이코인을 2차적으로 락업을
진행할 수 있는 추가 락업입니다.
(아직 KYC인증과, 마이그레이션을 받지 않은 사람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파이브라우저 지갑에 접속하셔서,
지갑을 열면 가운데 "락업" 아이콘이 있습니다.
그곳을 눌러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아래의 순서대로 2차 락업을 (전체 또는 분할해서 세부적으로)
락업을 계속 할 수가 있습니다.
분할은 잘게 잘게 여러번 할 수 있지만,
락업 최대치는 기존에 1차 마이그레이션 받은 코인의 200%까지만 가능합니다.
파이가 더 많이 있더라도 최대치 이후 남은 파이는 더이상
락업이 되지 않습니다.
(사용예시)
예를들어 내가.
기존에 3년 50% 락업을 했고, KYC 인증 후 1차 1천개의 마이그레이션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생태계 활동을 해서 추가로 2천개 정도의 파이를 모았습니다.(실제사용가능한 파이)
그러면 Wallet(지갑)에는
3천개의 파이가 존재하게 됩니다.
총 3천개의 파이코인이 보일것입니다.
당장 사용가능한 2천개
아래 락업된 2종류의 1천개 =
(3년 이후에 락업이 풀리는 500개와
2주후(사용가능)에 락업이 풀리는 500개가 있게 됩니다.)
이런 상태에서 나는 온체인락업을 할 수가 있습니다.
기존 3년50%로 잡혀있는 500개를 포함된,
1차 마이그레이션 2주후 해제된 500개를 한번에 락업할 수도 있고,
잘게 쪼개서 여러번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생태계 활동에서 모은 2천개중 1천개를 락업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남은 1천개의 파이코인은 마그대비 최대치를 넘었기때문에
더이상 락업이 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잔액으로 남아있게 됩니다.
주의사항 :
은행의 적금은 내가 필요시 손해를 감수하고 깰 수가 있지만,
암호화폐 락업은 한번 걸면 해당 기간이 풀리기 전까지는
절대 풀리지 않고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니 항상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너스 욕심에 너무 성급하게 락업을 선택하지 마시고,
가급적이면 락업은 치밀한 사용 계획에 맞추어 최종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살다보면 계획을 변경해야만 할때가 있습니다.
그러니 항상 여유분을 놔두셔야 합니다."
추가적인 내용 이해는 유투버 다오월드님이 잘 설명해 두셨으니
한번 보시고 공부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