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Part3 오픈 네트워크 출시 : CT의 의지 (출처 : 켄리님)

새글/뉴스

2. Part3 오픈 네트워크 출시 : CT의 의지 (출처 : 켄리님)

M 도원매니저 0 1041 0

2⃣     오픈 네트워크 출시 Part3: 2024년 가능성

 

24.02: "오픈 메인넷 2024년 출시 조건 달성은 현실적" (비공개 AMA)

 

=====

 

Q:

2021년 말 이후 800만 건의 KYC390만 건의 마이그레이션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올해 안에 이 수치를 두 배로 늘린다는 것이 현실적인 목표일까요?

 

쳥디아오:

, 현실적인 목표이며, 그래서 우리가 그러한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조건을 설계할 때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면) 오픈 네트워크 생태계를 부트스트랩하기 위해 대규모 네트워크를 메인넷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이러한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생태계에서 대중의 효과로 인한 많은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 과거에 백서와 발표를 통해 이러한 목표를 반복했으며, 물론 이러한 목표의 실현 가능성도 고려했습니다. 커뮤니티가 함께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요.

 

생각해보면 이미 800만 명의 사용자들이 KYC를 완료하여 마이그레이션 목표인 1,000만 명 달성에 근접한 상태입니다. 800만 명에서 1,000만 명까지는 200만명만 남았다는 뜻입니다.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이 8백만 명이 모두 마이그레이션 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며, 주요 체크리스트를 완료하고 마이그레이션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1년 동안 2백만 명은 그렇게 어렵지 않을 겁니다.

 

KYC가 마이그레이션의 전제 조건이고 이미 800만 명이 KYC를 완료했기 때문에 1,000만명 마이그레이션에 매우 근접해 있습니다.

 

1,500만 명의 KYC 목표에 대해서는 이미 800만 명을 달성했습니다. 따라서 목표의 50% 이상을 이미 달성한 것입니다.

 

KYC의 속도가 선형적인 패턴을 따르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800만 건 중 대부분은 (KYC 개발) 초기보다 최근에 완료되었습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KYC와 마이그레이션에 주의를 기울이고, 철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버그를 수정하고, 알고리즘을 개선하기 위해 부지런히 노력했으며, 수많은 버전이 반복되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견고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지금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0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20 명
  • 오늘 방문자 1,141 명
  • 어제 방문자 1,072 명
  • 최대 방문자 3,319 명
  • 전체 방문자 420,686 명
  • 전체 게시물 459 개
  • 전체 댓글수 120 개
  • 전체 회원수 96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